농협 조합장 '경업금지' 제도 허점, 해외농업개발 '혈세 낭비' 지적 > 정치/행정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행정

농협 조합장 '경업금지' 제도 허점, 해외농업개발 '혈세 낭비' 지적

작성일 25-10-26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 17회 댓글 0건

본문

농협 내부 통제와 국가 식량정책 모두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농협 조합장의 경업(競業)금지 조항이 사실상 무력화된 가운데, 정부가 식량 안보를 명분으로 2천억 원 넘게 지원한 해외농업자원개발사업도 절반 이상이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임미애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정감사에서 “조합장 선거 때만 '경업' 여부를 확인하고, 당선 후에는 ‘지도 권고’에 그치는 제도는 부패와 이해충돌을 막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현행 제도상 조합장이 경쟁 사업체에 관여해도 농협중앙회가 이를 상시 파악하거나 제재할 방안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청군농협 조합장 사건의 해당 조합장은 2023년 3월 임기 시작 후 같은 해 11월 농업회사법인 ㈜천지의 사내이사로 취임했다.


그러나 농협중앙회는 노동조합의 문제 제기 전까지 이를 전혀 알지 못했으며 ㈜천지는 농산물 생산·유통·축산물 가공 등 지역농협과 사업이 중복되는 업체로 경쟁관계 였다고 알려졌다.


더불어 하나로마트 정육 매장 임대 운영 업체 대표가 ㈜천지 전 사내이사로 확인되며 이해충돌 의혹까지 제기됐다.


임 의원은 “중앙회가 지도·감독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해 "조합장 겸직 및 경업" 현황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며 법 개정 검토를 밝혔다.


한편 해외농업자원개발사업의 성과도 “총체적 부실”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09년부터 정부는 식량위기 대응을 명분으로 50개 기업에 총 2137억 원을 저리 융자로 지원했지만, 이 중 절반인 25개 기업이 폐업 또는 휴업 상태다. 


곡물 반입 성과도 미미해, 활동 중인 25개 기업 가운데 지난해(2024년) 국내 반입실적이 있는 곳은 8곳뿐이며 총 반입량은 24,696톤에 그쳤다.


대기업도 잇따라 실패해 특히 셀트리온은 러시아 밀·콩 재배를 위해 68억 원을 받고 단 한 번도 반입 없이 사업을 접었다고 전했다.


CJ제일제당과 한진중공업, 한진해운 등도 수십억 원을 지원받고 실적 없이 폐업하거나 철수했다. 


전체 해외농업개발기업을 통한 국내 반입량은 연간 곡물수입량의 1.7% 수준에 불과하며, 이조차 95%가 팬오션 한 곳 실적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미애 의원은 “식량위기 상황에서 제 기능을 못 한다면 정책 존재 이유가 없다”며 “관리감독 체계를 재정비하고 ODA 연계, 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영준 기자(jebo777@hanmail.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윈 미디어/ 대구시 수성구 지산동 1188 3F    대표전화 : 1600-3645/ 등록번호: 대구 아00267
   구미본부: 구미시 송정동 462-4 2F    구독료/후원/자유결제 3333-05-2360050 카카오뱅크
발행인/편집인: 조영준 본부장 :청소년보호책임자: 이대경
광고/제보 이메일 : jebo777@hanmail.net
Copyright © www.NEWSWiN.net.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